mikstipe 음악넋두리
추억, 80년대 한국 Rock의 기록... 87' 젊음의 행진 한강특설무대 공연
mikstipe
2006. 10. 20. 15:33
80년대 중반은 한국의 록 음악 씬에서 비록 음반들의 녹음 상태는 후졌을지라도 그들의 활동만큼은 정말 '르네상스기'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만큼 좋은 기록들을 남긴 시기였다. 소위 '헤비메탈 밴드'로 불리던 '시나위','부활','백두산'이 '가요 톱10'과 '젊음의 행진'에 김완선, 소방차 등과 함께 출연할 수 있었던 시기라는 것은 아직 '밴드 음악'이란 것이 주류에서 살아있었던 시절의 모습이 어떤 것인가를 새삼 뒤돌아보게 한다.
그런데, 우연히 P2P를 뒤지다 "송골매의 동영상이 혹시 있을까?"하는 궁금증에 건진 월척(!)이 하나 있어 여러분께 그 충격적 영상을 공개하고자 한다. 바로 한강 둔치의 개발이 완료되던 87년무렵, KBS에서 '젊음의 행진' 특집 공개방송을 생방송으로 진행했던 동영상이 입수된 것이다. 게다가 이 날의 출연진이 대박이다. 송골매-시나위-백두산, 그리고 밴드의 모습으로 무대에 선 '록커'(?) 전영록까지... 80년대 한국 록음악이 얼마나 중흥될 수 있었던 시기가 있었는데 우리의 대중문화계가 그 토대를 살리지 못하고 무너뜨려왔는가에 대한 아쉬움이 가장 크게 남는 한 단면으로 이 영상을 접하게 됨이 가슴아프다.
1. 송골매 - 새가 되어 날으리 / 세상만사 (Live)
물론 [어쩌다 마주친 그대]로 10대가수상을 타던 그 시절(2-3집)이 송골매의 상업적 최 전성기이기는 했다. 하지만, 구창모의 탈퇴 이후에도 우리의 배철수 형님께서는 리더로서 그 자리를 지켰고, 결국 5-6집의 힘은 (한동안 그 가치가 과소평가되었음에도) 한국의 주류 록밴드가 가져야 할 미덕이 무엇인가를 제대로 보여주었다. 기타를 치며 노래부르면서 저 굳은 인상을 쓰고 정면을 응시하는 철수 형님의 포스를 느껴보라!!
그런데, 우연히 P2P를 뒤지다 "송골매의 동영상이 혹시 있을까?"하는 궁금증에 건진 월척(!)이 하나 있어 여러분께 그 충격적 영상을 공개하고자 한다. 바로 한강 둔치의 개발이 완료되던 87년무렵, KBS에서 '젊음의 행진' 특집 공개방송을 생방송으로 진행했던 동영상이 입수된 것이다. 게다가 이 날의 출연진이 대박이다. 송골매-시나위-백두산, 그리고 밴드의 모습으로 무대에 선 '록커'(?) 전영록까지... 80년대 한국 록음악이 얼마나 중흥될 수 있었던 시기가 있었는데 우리의 대중문화계가 그 토대를 살리지 못하고 무너뜨려왔는가에 대한 아쉬움이 가장 크게 남는 한 단면으로 이 영상을 접하게 됨이 가슴아프다.
1. 송골매 - 새가 되어 날으리 / 세상만사 (Live)
물론 [어쩌다 마주친 그대]로 10대가수상을 타던 그 시절(2-3집)이 송골매의 상업적 최 전성기이기는 했다. 하지만, 구창모의 탈퇴 이후에도 우리의 배철수 형님께서는 리더로서 그 자리를 지켰고, 결국 5-6집의 힘은 (한동안 그 가치가 과소평가되었음에도) 한국의 주류 록밴드가 가져야 할 미덕이 무엇인가를 제대로 보여주었다. 기타를 치며 노래부르면서 저 굳은 인상을 쓰고 정면을 응시하는 철수 형님의 포스를 느껴보라!!
2. 시나위 - 새가 되어 가리 / 빈 하늘
신중현의 아들 신대철이 록 밴드를 꾸려 나온다는 얘기가 나온 그 시점부터 한국의 록 팬들은 열광했다. 지금은 그 위상이 많이 꺾인게 사실이지만, 적어도 김종서-신대철의 콤비 플레이는 마치 부활의 이승철-김태원의 경우처럼 그룹 역사 전체의 수많은 라인업 중에 가장 멋진 조합이었다. (물론 김바다에게는 좀 미안한 얘기다.) 김종서에게 언제 저런 파릇한 시절이 있었던가에 대하여 궁금하며 어리둥절하게 하는 그 깨끗한 피부와 아직 능숙하진 못하나 열정을 다하는 보컬, 그리고 당시로서는 메탈 기타 톤의 진수를 보여준 신대철의 사운드 메이킹은 비록 엔지니어링의 한계로 현장에서 좀 답답하게 들려도 매력적이다.
신중현의 아들 신대철이 록 밴드를 꾸려 나온다는 얘기가 나온 그 시점부터 한국의 록 팬들은 열광했다. 지금은 그 위상이 많이 꺾인게 사실이지만, 적어도 김종서-신대철의 콤비 플레이는 마치 부활의 이승철-김태원의 경우처럼 그룹 역사 전체의 수많은 라인업 중에 가장 멋진 조합이었다. (물론 김바다에게는 좀 미안한 얘기다.) 김종서에게 언제 저런 파릇한 시절이 있었던가에 대하여 궁금하며 어리둥절하게 하는 그 깨끗한 피부와 아직 능숙하진 못하나 열정을 다하는 보컬, 그리고 당시로서는 메탈 기타 톤의 진수를 보여준 신대철의 사운드 메이킹은 비록 엔지니어링의 한계로 현장에서 좀 답답하게 들려도 매력적이다.
시나위 - 새가 되어 가리 / 빈 하늘 (Live)
3. 백두산 - 말할걸 / Up In The Sky
좀 전에 친구와 메신저로 대화를 나누다가, 이 얘기를 했더니 그 친구가 그랬다. 한국 록 역사에서 유현상이 트로트계로 전향한 것이 가장 아쉬운 순간 중 하나라고... 유현상과 김도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백두산의 1-2집은 음악적 완성도에서는 조금 큰 간극을 갖고 있는데, 누구나 그들의 2집 [King Of Rock And Roll]이 밴드 커리어의 최고작이라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전곡을 영어로 작사한 이 앨범은 당시 미군들도 열심히 찾았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앨범에서 '이거 스튜디오 트릭 아냐?'라고 생각한 샤우팅 창법을 라이브에서 구사하는 유현상의 목소리에 경악하면서 이 영상 감상해보자. 아, 정말 김도균의 연주는 묵직하다! 그는 정말 한국의 아키라 다카하시(Loudness의 리더이자 기타리스트)라 불러도 손색없는 연주를 보여주니까...
좀 전에 친구와 메신저로 대화를 나누다가, 이 얘기를 했더니 그 친구가 그랬다. 한국 록 역사에서 유현상이 트로트계로 전향한 것이 가장 아쉬운 순간 중 하나라고... 유현상과 김도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백두산의 1-2집은 음악적 완성도에서는 조금 큰 간극을 갖고 있는데, 누구나 그들의 2집 [King Of Rock And Roll]이 밴드 커리어의 최고작이라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전곡을 영어로 작사한 이 앨범은 당시 미군들도 열심히 찾았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앨범에서 '이거 스튜디오 트릭 아냐?'라고 생각한 샤우팅 창법을 라이브에서 구사하는 유현상의 목소리에 경악하면서 이 영상 감상해보자. 아, 정말 김도균의 연주는 묵직하다! 그는 정말 한국의 아키라 다카하시(Loudness의 리더이자 기타리스트)라 불러도 손색없는 연주를 보여주니까...
백두산 - 말할 걸 / Up In The Sky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