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팝/80년대 팝 아티스트
80년대 여성 록 밴드의 대표주자들 (2) The Bangles (Part 2)
mikstipe
2007. 4. 6. 13:40
90~01‘: 각 멤버들의 솔로 활동기에서 재결성까지
Susannah Hoffs - My Side Of The Bed
(Live on 'David Letterman')
Susannah Hoffs - All I Want (Acoustic Live)
한편, 데비 피터슨은 밴드 해체 이후 가족에만 전념하다가 잠시 고고스의 지나 쇽과의 프로젝트를 결성하기도 했지만, 지나의 탈퇴로 다시 혼자서 음악작업을 하던 중 시오반 마에르(Siobhan Maher)라는 여성 뮤지션을 만나 새로운 작업을 거쳐 Kindered Spirit이라는 듀오를 결성해 활동하게 된다. 이들의 앨범은 95년에 발매되는데, 두 사람이 영국과 미국으로 떨어져 살고 있던 관계로 이들의 관계는 오래 가지 못하고, 게다가 I.R.S.레이블마저 96년에 페업하는 바람에 듀오는 자연 해체된다. 마지막으로 마이클 스틸은 해체 이후 솔로 활동이 예정되었으나 계약문제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대신에 비키의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활동을 이어왔으며, 한 때는 Eyesore라는 밴드에도 참여했었지만, 외형적으로 두드러진 활동을 보여주진 못했다.
Bangles - Something That You Said
나가는 글: 고고스와 뱅글스가 90년대 여성 뮤지션들에게 남긴 것들
고고스와 뱅글스는 남성적인 록/헤비 메탈 밴드들이 그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었던 80년대의 록 신에서 여성들로만 구성된 록 밴드로서 전-후반기를 양분하며 스타덤을 얻었던 밴드들이다. 사실, 다양한 장르에서 여성 뮤지션들이 자신들의 재능을 활발하게 발휘하고 있으며 많은 록 밴드에서 (마치 80년대에 블론디의 데보라 해리가 그러했던 것처럼) 여성 보컬의 카리스마가 밴드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위치에 서있는 90년대 이후의 팝 계에서도 의외로 완전히 여성으로만 구성되어 스타덤에 오른 밴드들이 거의 전무하다는 점(굳이 넣어봐야 커트니 러브의 홀(Hole)정도? 근데 거기도 남자 멤버가 있다.)에서 고고스와 뱅글스를 능가할만한 스타덤을 얻을 여성밴드가 언제 새로 등장할 것인지 사못 궁금하기까지 하다. 하지만, 이러한 희소성과는 별개로 우리는 그들이 존재했음으로 인해 90년대의 음악 신에서 여성 뮤지션들이 록을 한다는 것이 대중들에게 어떤 인식으로 작용했는가에 대해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두 밴드는 록음악을 하기 위해 여성들이 이전 시대처럼 남성들이 만들어놓은 틀에서 그들과 같은 방식으로 경쟁하려했던 것과는 달리 여성으로서의 장점을 존중하고 오히려 부각하면서 이후 여성뮤지션들이 자신들의 ‘여성성’을 지키며 록음악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주었다. 그리고, 그 속에서도 작사-작곡과 연주 등 모든 것을 주체적으로 해내려고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것은 90년대의 많은 여성 싱어-송라이터들에게도 음악을 하는 데 있어 여성으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넣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의 좋은 예시가 되어 주었기에 이들의 존재는 단순히 80년대에 잠깐 ’반짝 떴던‘ 아이돌 스타들과는 분명 구별되어야 할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제 어쩌면 그들과 (더 멀리는 선구적인 여성 선배 뮤지션들)을 보며 성장해 온 90년대의 ’릴리스 페어 군단‘들의 대열에 고고스와 뱅글스도 ’선배‘ 대접을 받으며 복귀, 합류했다. 이들이 과거의 스타덤을 재현할 수 있을지는 아직 알 수 없겠지만, 분명 40이 넘은 나이에도 자신들의 음악을 계속 하고 싶어하는 이 ’맹렬여성‘들의 노력이 다음 세대의 여성들이 아티스트를 향한 꿈의 자양분이 되어 줄 것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고고스와 뱅글스는 남성적인 록/헤비 메탈 밴드들이 그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었던 80년대의 록 신에서 여성들로만 구성된 록 밴드로서 전-후반기를 양분하며 스타덤을 얻었던 밴드들이다. 사실, 다양한 장르에서 여성 뮤지션들이 자신들의 재능을 활발하게 발휘하고 있으며 많은 록 밴드에서 (마치 80년대에 블론디의 데보라 해리가 그러했던 것처럼) 여성 보컬의 카리스마가 밴드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위치에 서있는 90년대 이후의 팝 계에서도 의외로 완전히 여성으로만 구성되어 스타덤에 오른 밴드들이 거의 전무하다는 점(굳이 넣어봐야 커트니 러브의 홀(Hole)정도? 근데 거기도 남자 멤버가 있다.)에서 고고스와 뱅글스를 능가할만한 스타덤을 얻을 여성밴드가 언제 새로 등장할 것인지 사못 궁금하기까지 하다. 하지만, 이러한 희소성과는 별개로 우리는 그들이 존재했음으로 인해 90년대의 음악 신에서 여성 뮤지션들이 록을 한다는 것이 대중들에게 어떤 인식으로 작용했는가에 대해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두 밴드는 록음악을 하기 위해 여성들이 이전 시대처럼 남성들이 만들어놓은 틀에서 그들과 같은 방식으로 경쟁하려했던 것과는 달리 여성으로서의 장점을 존중하고 오히려 부각하면서 이후 여성뮤지션들이 자신들의 ‘여성성’을 지키며 록음악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주었다. 그리고, 그 속에서도 작사-작곡과 연주 등 모든 것을 주체적으로 해내려고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것은 90년대의 많은 여성 싱어-송라이터들에게도 음악을 하는 데 있어 여성으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넣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의 좋은 예시가 되어 주었기에 이들의 존재는 단순히 80년대에 잠깐 ’반짝 떴던‘ 아이돌 스타들과는 분명 구별되어야 할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제 어쩌면 그들과 (더 멀리는 선구적인 여성 선배 뮤지션들)을 보며 성장해 온 90년대의 ’릴리스 페어 군단‘들의 대열에 고고스와 뱅글스도 ’선배‘ 대접을 받으며 복귀, 합류했다. 이들이 과거의 스타덤을 재현할 수 있을지는 아직 알 수 없겠지만, 분명 40이 넘은 나이에도 자신들의 음악을 계속 하고 싶어하는 이 ’맹렬여성‘들의 노력이 다음 세대의 여성들이 아티스트를 향한 꿈의 자양분이 되어 줄 것임은 분명한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