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kstipe 음악넋두리
책처럼 만들어져 불편한, 아니 슬픈 두 앨범...
mikstipe
2009. 3. 2. 00:34
작년 가을과 겨울, 참 특이한 패키지로 이뤄진 두 장의 앨범이 내 손에 들어왔다. (물론 돈 주고 산거다.) 그 첫 번째는 내가 90년대에 그렇게도 애정을 갖고 좋아했으며, 내가 대학시절 음악 동아리를 할 때, 그 롤 모델로 삼았던 그룹, 여행스케치의 새 EP였다. [2009 Diary & Mini Album]이라고 붙여진 이 '음반이 끼워진 다이러리'는 처음엔 발표된다는 사실에 기뻤음에도 막상 실물이 나왔을 때 정말 내 맘에 비를 내리게했다. 그 이유는 단 한 가지, 그들은 팬 서비스에 대한 의미로 이렇게 만들었을 지 모르지만, 내 생각에는 이렇게라도 음반의 패키지를 특성화해야 이 음원들이 판매 가치를 부여받는구나... 하는 데서 온 슬픔이었다. 결국 여행스케치의 신곡들을 음반으로 내주려는 음반사가 한 군데도 없다는 소리이지 않은가?
시드 페이퍼라는 팬시 전문 제조 업체가 이 다이어리 음반의 제조사다. 그런데, 이 책에 적힌 홈페이지 링크를 쳐보면 엉뚱하게도 BC카드 레인보우 광고 사이트가 떠버린다..허걱.... 하여간... 조병석과 남준봉이 몇 년 전 '대학로 컴백쇼' 라는 초라한 2만원짜리 공연을 한 것을 보고 대략난감 실망을 하긴 했지만, 그래도 조병석의 작곡 능력을 믿기에 들어본 신곡들은 그리 나쁘진 않았다. 하지만 [My Friend Good Friend]는 싸이월드 이미지 송의 재수록이었고, 김정은을 보컬로 넣은 [별이 뜬다네]는 [별이 진다네]의 후렴구를 레게풍의 신곡에 접목시킨 트랙이었다. (물론 그 시도가 나쁘단 얘긴 아니다.) 여치 홈페이지에다가 관람기를 올리면서 '여자 멤버를 새로 영입하던지, 백 코러스라도 제대로 하는 여자 둘만 고용하라'고 성질도 내 봤지만, 그들은 요지부동, 두 사람만의 길에 만족하는 것 같다. 그래서 두 사람의 현재 기분을 노래한 듯한 [눈물이 난다]가 내겐 가장 공감이 가는 노래였다.
[디스크의 보관에 치명적인 구조를 이 다이어리 부클릿(?)은 갖고 있다.]
자, 그럼 작년 연말에 나온 이와 구성이 비스므레한(?) 다른 CD한 장을 보자. 바로 이소라의 7집 앨범이다. 보라색 커버의 메모 북 형태의 패키지 속 한 가운데에 CD알판을 담아둘 마분지 페이지가 있다. 그 속에서 알판을 꺼내어 음반을 들으면 된다. 이 앨범에는 사실 제목도 없다. <Stairway to Heaven>이 든 음반을 그냥 [Led Zeppelin 4]라고 부르듯, 그녀의 정규 7집 앨범이니까 '7집' 이라 부를 뿐이다. 방송에서는 <Track 8>이라고 하는 수록곡이 뮤직비디오와 함께 홍보되고 있다. (그나마 유통망이 엠넷 미디어이기에, 뮤비가 방송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가사가 엘리엇 스미스(Elliot Smith)를 기리는 추모라 한다. 이한철의 작품이다.) 이 부클릿이 패키지가 되어버린 앨범의 디자인은 정말 멋지다. 점점 자신의 앨범을 '아티스트쉽'으로 다듬고 싶은 그녀의 의지는 충실히 반영된 패키지다. 그러나, 이 앨범 속에 담긴 그 '괜찮은, 만족스런' 음원에도 불구하고, 이런 패키지는 내게 여전히 불편하다. 그나마 여행스케치처럼 '다이어리'란 제목을 안붙이고 CD몰에서만 팔리게 했으니 정말 다행이다. 이건 사람들이 분명 음반 패키지라 공식적으로 인정해 줄 테니. 그러나 내게는 음반의 정체성을 좋은 디자인으로 굳이 흔들 이유가 있을까 싶었던 2008년의 가장 '애매한 CD앨범'이다.
나름대로 공들여 잘 만든 음반 패키지에 왜이리 불만이냐고, 나를 욕해도 좋다. 근데, 난 왠지 불편하다. 장기하는 지가 직접 구운 공시디 싱글도 잘 팔았는데, 대한민국 음악 씬에서 잔뼈가 굵은 이 두 뮤지션들이 왜 이런 패키지를 사용해서야 음반을 내야 하는 걸까.. 라는 그 삐딱한 궁금증 때문이다. 대중이 알판의 음원만 좋다고 음반을 사지는 않음을 이제 깨닳았기 때문일까? 그걸 알고 이런 식으로 대처하고 있음이 개인적으로는 슬프다. 적어도 1990년대에는 이럴 일은 없었지 않은가.
시드 페이퍼라는 팬시 전문 제조 업체가 이 다이어리 음반의 제조사다. 그런데, 이 책에 적힌 홈페이지 링크를 쳐보면 엉뚱하게도 BC카드 레인보우 광고 사이트가 떠버린다..허걱.... 하여간... 조병석과 남준봉이 몇 년 전 '대학로 컴백쇼' 라는 초라한 2만원짜리 공연을 한 것을 보고 대략난감 실망을 하긴 했지만, 그래도 조병석의 작곡 능력을 믿기에 들어본 신곡들은 그리 나쁘진 않았다. 하지만 [My Friend Good Friend]는 싸이월드 이미지 송의 재수록이었고, 김정은을 보컬로 넣은 [별이 뜬다네]는 [별이 진다네]의 후렴구를 레게풍의 신곡에 접목시킨 트랙이었다. (물론 그 시도가 나쁘단 얘긴 아니다.) 여치 홈페이지에다가 관람기를 올리면서 '여자 멤버를 새로 영입하던지, 백 코러스라도 제대로 하는 여자 둘만 고용하라'고 성질도 내 봤지만, 그들은 요지부동, 두 사람만의 길에 만족하는 것 같다. 그래서 두 사람의 현재 기분을 노래한 듯한 [눈물이 난다]가 내겐 가장 공감이 가는 노래였다.
[디스크의 보관에 치명적인 구조를 이 다이어리 부클릿(?)은 갖고 있다.]
그리고 한 가지 이 음반을 갖고 나서 짜증나는 건, 디지팩속 꽂이 같은 틀이라도 붙여놓던가, 아니면, 종이 커버 속에 쏙 집어넣던가.. 그렇게 만들었어야지, 다이어리 속에 어정쩡하게 음반 꽂는 자리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이 사진을 함 보시라. 이래서야 어디 제대로 CD 알판이 보관되겠는가? 게다가 더 슬픈 것은 이 다이어리는 그냥 들고 다니면서 써도 될 만큼 구성도 공들여 잘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러니, 음반을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다이어리를 사용하지도 못하고 영영 전시해놔야 한다면, 도데체 이 다이어리의 기능은 무엇인가? (여행스케치의 팬이라면 이 다이어리를 들고다니면 기록하는 낙서는 절대로 하지 않을 것이다.) 다이어리의 정체성도, 음반의 정체성도 잃어버린 2008년의 가장 '애매한' EP라 감히 부를 만 하다.
자, 그럼 작년 연말에 나온 이와 구성이 비스므레한(?) 다른 CD한 장을 보자. 바로 이소라의 7집 앨범이다. 보라색 커버의 메모 북 형태의 패키지 속 한 가운데에 CD알판을 담아둘 마분지 페이지가 있다. 그 속에서 알판을 꺼내어 음반을 들으면 된다. 이 앨범에는 사실 제목도 없다. <Stairway to Heaven>이 든 음반을 그냥 [Led Zeppelin 4]라고 부르듯, 그녀의 정규 7집 앨범이니까 '7집' 이라 부를 뿐이다. 방송에서는 <Track 8>이라고 하는 수록곡이 뮤직비디오와 함께 홍보되고 있다. (그나마 유통망이 엠넷 미디어이기에, 뮤비가 방송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가사가 엘리엇 스미스(Elliot Smith)를 기리는 추모라 한다. 이한철의 작품이다.) 이 부클릿이 패키지가 되어버린 앨범의 디자인은 정말 멋지다. 점점 자신의 앨범을 '아티스트쉽'으로 다듬고 싶은 그녀의 의지는 충실히 반영된 패키지다. 그러나, 이 앨범 속에 담긴 그 '괜찮은, 만족스런' 음원에도 불구하고, 이런 패키지는 내게 여전히 불편하다. 그나마 여행스케치처럼 '다이어리'란 제목을 안붙이고 CD몰에서만 팔리게 했으니 정말 다행이다. 이건 사람들이 분명 음반 패키지라 공식적으로 인정해 줄 테니. 그러나 내게는 음반의 정체성을 좋은 디자인으로 굳이 흔들 이유가 있을까 싶었던 2008년의 가장 '애매한 CD앨범'이다.
나름대로 공들여 잘 만든 음반 패키지에 왜이리 불만이냐고, 나를 욕해도 좋다. 근데, 난 왠지 불편하다. 장기하는 지가 직접 구운 공시디 싱글도 잘 팔았는데, 대한민국 음악 씬에서 잔뼈가 굵은 이 두 뮤지션들이 왜 이런 패키지를 사용해서야 음반을 내야 하는 걸까.. 라는 그 삐딱한 궁금증 때문이다. 대중이 알판의 음원만 좋다고 음반을 사지는 않음을 이제 깨닳았기 때문일까? 그걸 알고 이런 식으로 대처하고 있음이 개인적으로는 슬프다. 적어도 1990년대에는 이럴 일은 없었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