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저장고/팝
Brett Anderson - Black Rainbows (워너뮤직 국내반 해설지)
mikstipe
2011. 10. 29. 11:22
# 이 글은 제가 워너뮤직에서 발매한 이 앨범 국내반 해설지로 작성한 원고입니다.
스웨이드(Suede)의 리더이자 티어즈(The Tears)를 이끈 영국의 독보적 록 보컬리스트,
브렛 앤더슨(Brett Anderson)의 2011년 최신 솔로 앨범 「Black Rainbows」
지난 2011년 7월 31일,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는 음악 잡지를 위해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이 열리고 있었던 지산 리조트 콘도 건물에서 재결합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찾아온 스웨이드(Suede)와 인터뷰를 갖는 기회를 얻었다. 1990년대에 오아시스(Oasis), 블러(Blur)와 함께 국내 팬들에게 가장 큰 인기를 얻었던 이 밴드가 3집 「Coming Up」의 라인업 그대로 재결합 해 한국 무대에서 우리에게 연주를 해 준다는 것만으로도 이미 행복한 기분이었지만, 그들과 얼굴을 마주보며 그간의 활동과 현재의 상황에 대해 질문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더욱 즐거운 일이었다.
이처럼 브렛 앤더슨은 지난 20년간 스웨이드라는 브릿 팝 역사의 대표적 밴드의 음악적 리더이자 보컬리스트로서, 그리고 그가 2000년대에 보여주었던 다채로운 음악 활동으로서 자신의 뮤지션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보컬과 무대 위에서 드러나는 그의 양성적 이미지와 열정적 무대 매너는 1990년대 록 팬들에게는 마치 데이빗 보위(David Bowie)의 1970년대에 비견하기는 어렵다 해도 그것을 1990년대에 맞게 변화해서 구현한 것 같은 매력을 주었다. 그러한 그의 카리스마가 한 시대의 대중을 사로잡았었기에, 이제 그의 얼굴에 비록 주름이 늘고 세월의 여파로 그의 목소리에서 가끔 탁성이 들린다 해도 그 시대를 함께 숨 쉬었던 음악 팬들에게 브렛 앤더슨은 여전히 매력남으로 기억되는 것이며, 그가 2000년 중반 이후 이어가는 솔로 활동 역시 꾸준히 주목하며 환호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한다. 이제는 그 위에 스웨이드로서의 추억까지 되찾아주었으니, 이 어찌 반갑지 않은 일이겠는가.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브릿 팝 대표 록 보컬의 자리를 지켰던 브렛 앤더슨의 음악여정
1967년 영국 웨스트 서섹스(West Sussex) 주 헤이워즈 히스(Haywards Heath) 태생인 브렛 앤더슨은 평범한 노동자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어머니는 화가로서 활동을 했었고, 아버지 역시 광적인 클래식 음악 팬인 환경 속에서 자연스럽게 음악에 대해 눈을 떠갔다. 학교생활을 하면서 이미 브렛은 기타를 잡고 노래하는 것을 공부보다 더 즐거운 일로 여겼고, 피그즈(The Pigs), 제프(Geoff) 등 동네의 여러 개러지 밴드들을 전전하며 기타를 연주했다. 특히, 제프라는 밴드에서 그는 베이시스트인 맷 오스먼(Mat Osman)을 처음 만나 우정을 다졌다.
결국 학교를 졸업한 이후 브렛과 맷은 당시 그의 여자친구였던 저스틴 프리쉬먼(Justine Frischmann, 훗날 엘라스티카(Elastica)의 리더로 인기를 얻었다)과 셋이서 밴드를 결성했는데, 이것이 바로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스웨이드의 출발이었다. 하지만 세 명으로는 부족한 부분을 느낀 그는 음악지 NME에 기타리스트를 구한다는 광고를 냈고, 그 결과 만난 기타리스트가 바로 버나드 버틀러(Bernard Butler)였다. 드러머 사이먼 길버트(Simon Gilbert)를 영입한 후 그들은 본격적으로 1990년대 초반 영국에서 불어오던 브릿 팝의 물결 속으로 뛰어 들어갔다. (하지만 저스틴은 블러의 프론트맨 데이먼 알반(Damon Albarn)과 소위 ‘양다리’를 걸쳤고, 결국 밴드에서 해고되고 말았다.)
스웨이드의 해체 이후 브렛이 처음으로 시도했던 음악 활동은 바로 옛 파트너 버나드 버틀러와의 음악적 재회였다. 두 사람은 윌 포스터(Will Foster), 마코토 사카모토(Makoto Sakamoto), 네이턴 피셔(Nathan Fisher) 등과 함께 프로젝트 밴드 티어즈(The Tears)를 결성했고, 「Here Come The Tears」를 들고 다시 음악계로 복귀했다. 비록 영국 평론가들과 대중의 반응이 엇갈리긴 했지만, 이 앨범은 브렛과 버나드를 지지하는 음악 팬들이 영국과 세계에 많음을 확인시켜주는 데 충분했다. 하지만 앨범의 유럽 투어가 중도에 취소되면서, 그 이후의 밴드는 더 이상의 활동을 이어가지 못했다.
다시 밴드의 포맷에서 자연스러운 다이나믹을 전하는 4번째 솔로작 「Black Rainbows」
스웨이드는 다시 현역으로 복귀했지만, 그는 그와 동시에 자신의 새 솔로 앨범에 대한 구상을 이미 2010년부터 세우고 있었고, 지난 앨범에서 함께 했던 레오 아브라함즈와 함께 스튜디오로 들어가 스웨이드의 투어가 없을 때마다 틈틈이 작업을 진행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20곡 정도의 데모를 바탕으로 다시 정돈 작업을 거쳐서 총 10곡이 최종으로 앨범에 선곡되었다. 특히 이번 앨범의 사운드에 대해 브렛은 자신의 홈페이지에 ‘restless, noisy and dynamic(들떠 있고, 소란스러우며 역동적인)’ 곡들이 담겼다는 멘트를 남긴 바 있다. 그만큼 앨범의 곡들은 지난 2장의 앨범들과 달리 플롯이나 스트링, 오케스트레이션 같은 요소들은 모두 사라지고 다시 순수한 밴드의 포맷으로 그가 돌아왔음을 확인시켜준다.
인트로에서 들려오는 기타 노이즈가 한 시대를 풍미한 록 보컬리스트의 귀환을 알려주는 첫 트랙 <Unsung>은 전체적으로 기타가 만들어주는 몽환적 분위기 속에 그의 보컬이 주는 매력을 한껏 감성적으로 끌어올린 곡이다. 분명 과거 스웨이드의 밴드적 분위기도 살짝 느낄 수 있으면서도 그의 솔로 앨범에서 더 두드러진 차분하고 자연스러움을 놓치지 않았다고 할까? 싱글로 첫 공개된 <Brittle Heart> 역시 록 밴드 포맷에 충실하면서 스웨이드의 향수를 슬쩍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대중적인 감성으로 가득하며 브릿 팝과 80년대식 영국 뉴 웨이브 팝의 중간 선상에 놓인 <Crash About to Happen>, 지글대는 기타 노이즈 속에서 복고적 사운드의 향수를 자극하는 <I Count The Times>, 베이스와 드럼의 리듬 구성으로 귀를 잡아끌면서 그 위에 브렛의 보컬 특유의 톤이 얹어지며 앨범의 사운드가 점점 강하게 올라감을 선언하는 <The Exiles>까지 그의 고유한 스타일이 다시 스웨이드와 티어즈 시절의 밴드 록의 형태로 지속되고 있음을 이 앨범은 보여준다.
영국 BBC 웹사이트는 이 앨범에 대한 리뷰 속에서 이 작품에 대해 ‘예정된 스웨이드의 앨범을 위한 (마치 전초전 성격의) 작품(a job for the planned Suede album)’이라는 표현을 썼다. 이 말대로 그간 그가 내놓았던 솔로 앨범들에 비하면 그래도 가장 스웨이드 시절의 낭만에 살짝 근접한 음악들이 담겨 있기에, 그들이 내한 인터뷰에서 밝힌 대로 만약 앞으로 2-3년 이내에 그들의 신보가 나오게 된다면 그것이 어떤 모습이 될 것인가에 대한 단초 중 하나로서 가치를 지닌다 하겠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연륜이 더 묻어나는 브렛의 매력적인 목소리가 이 앨범 속에서 묻어나는 것만으로 우리는 이 음반을 들을 충분한 가치를 확보한 셈이다.
2011. 10 글/ 김성환(Music Journalist - 핫트랙스 매거진 필자)